Keystone 송유관을 둘러싼 캐나다 미국 갈등 심화
현재 캐나다내 가장 뜨거운 감자는 키스톤 송유관 KL공사의 취소가 아닐까 싶은데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은 취임 첫날인 20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허가했던 ‘키스톤 송유관 XL’ 공사를 무효화 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지난 2008년 처음 허가된 키스톤 송유관 공사는 캐나다 알버타주에서 미 텍사스주 정유시설까지 하루 80만 배럴의 원유를 수송하는 총 길이 1천800㎞의 송유관을 건설하는 대형 사업인데요.
이후 환경 문제로 법적 분쟁이 여러 차례 불거지면서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이 2015년 11월 환경오염 등을 이유로 사업을 불허했습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다시 2017년 1월 말 행정명령을 통해 재개했었습니다.
바이든 당선인이 송유관 사업을 실제로 중단할 경우 석유 사업체를 중심으로 한 상당한 반발이 예상되고 있는데요.
키스톤 송유관 운영사인 TC 에너지의 전 임원은 “이번 사업은 트럼프 행정부에서 마무리를 했어야 했다”라며 “바이든 당선인은 자신의 정치 기반을 의식해 이 같은 결정을 내릴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캐나다 트뤼도 정부에서는 아직 이렇다할 대응을 보이고 있지 않으며 제이슨 케니 알버타 수상은 이 결정에 대해 강력히 반발하며 이런 결정을 내리기 전에 먼저 논의를 해야 한다면 주장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이 프로젝트가 중단이 될 경우에 15억 달러의 투자를 하고 대출 보증까지 한 알버타 연합 보수당 정부와 1천여명에 달하는 파이프라인 노동자 등 지방의 많은 사람들에게 심각한 타격을 줄것으로 보입니다.
TC 에너지는 미국 정부를 상대로 수십억 달러 규모의 소송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제이슨 케니 주지사는 17일 성명에서 “공사를 중단하면 캐나다와 미국의 일자리가 사라질 것”이라며 “아울러 양국 관계가 훼손되고 미국이 석유수출국기구(OPEC)에 더욱 의존하게 돼 국가 안보도 위협을 받는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바이든 당선인은 취임 후 키스톤 송유관 공사 중단, 파리 기후변화협약 재가입을 포함해 수일 동안 행정명령 수십 개를 발동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와 차별화에 나설 예정이라고 합니다.
결국 선거 이전에 두 대통령 후보간에 치열한 공방으로 이어지던 공약중 몇가지 우려했던 것중 하나가 결국은 시작이 되었습니다. 이 내용은 지난 몇 달간 바이든 후보가 주장하는 세계 기후 환경에 기여하기 위한 하나의 정책 공약이었습니다. 가득이나 석유값의 하락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알버타주의 또다른 심각한 타격이 될 전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