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우주발사체 ‘창정-5B호’의 잔해가 9일 대기권에 재진입해 인도양 상공에서 해체

Spread the love

중국 관영매체는 ‘창정-5B호’가 5월 9일 오전 10시 24분(베이징 시간)에 대기권에 재진입했다고 전했는데요. 이 로켓은 대기권 진입 과정에서 거의 소멸했지만, 일부는 몰디브 서쪽 인도양(동경 72.47도, 북위 2.65도)에 떨어진 것으로 보인다 전했습니다..

미국 우주사령부는 창정-5B호의 잔해들을 추적해왔는데 우주사령부는 성명을 통해 “창정-5B호가 아라비아해 상공에 재진입했다”며 “파편들이 땅이나 물에 영향을 줄지 모르겠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만에 하나 통제되지 않는 잔해가 지상에 떨어진다면 인명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는데 로이드 오스틴 미 국방장관은 중국이 대형 로켓의 잔해 추락을 방관했다고 말했습니다.

확률적으로 보면 잔해가 지상에 있는 민가에 떨어질 가능성은 희박한데요. 지구의 70%가 물로 덮여있을 뿐 아니라, 사람이 살지 않는 지상 면적도 크기 때문입니다.

중국은 지난달 4월 29일 새 우주정거장의 핵심 모듈 텐허를 실어 나르기 위해 창정-5B호를 발사했습니다.

18t으로 추정되는 이번 발사체 상단은 지금까지 지구로 낙하한 우주 쓰레기 중 가장 큰 축에 속한다고 합니다.

앞서 미국 정부는 경로를 주시하고 있지만, 로켓을 격추할 계획은 없다고 밝혔습니다.

전문가들은 우주 잔해물 대부분은 추락하면서 생기는 공기 저항에 따른 마찰열로 타서 없어진다고 설명했는데 물론 일부 파편이 남아 지상에 떨어지기도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지난해 5월, 발사체 상단 잔해물이 대기권에서 전부 소각되지 않고 추락해 남아프리카 코트디부아르에서 발견된 바 있기도 합니다.

한편 중국은 대형 로켓 잔해의 추락을 방관했다는 비판에 강력히 반발했는데요 현지 언론은 추락으로 인한 잠재적 피해 가능성을 논한 서구 언론의 보도가 ‘과장된 선전’이라며 잔해물이 공해상에 추락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